목록KISTI 인턴 (7)
쏘ing

1. 소개 perfSONAR는 성능 서비스 지향 네트워크 모니터링 아키텍처로 경로에 대한 연합 적용 범위를 제공하고 종단 간 사용 기대치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네트워크 측정 툴킷이다. 전 세계에 구축된 수천 개의 perfSONAR 인스턴스가 있으며, 이 중 다수는 네트워크 성능의 주요 측정값에 대한 공개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다. perfSONAR는 글로벌 인프라에 문제가 발생할 때 이를 식별하고 격리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엔지니어링 팀이 네트워크 사용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보다 쉽게 하고 네트워크 리소스를 활용할 때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. 측정 예약, 균일한 형식의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를 검색하고 시각화를 생성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방법을 허용하는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 2. ..

자동 성능 측정을 위해서 pSConfig Web Admin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먼저 도커를 설치해야 한다 Docker 설치 $ yum install -y docker /etc/docker/daemon.json 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{ "graph": "/usr/local/docker" } 활성화 및 시작 $ systemctl enable docker $ systemctl start docker /etc/logrotate.d/docker-container 파일 생성 후 다음 내용 넣기 /var/lib/docker/containers/*/*.log { rotate 7 daily compress size=1M missingok delaycompress copytruncate } PWA 설치 $..
2. 홈피 개선점 - 서비스, 현황이 과거임 (science org, e 컨퍼런싱 등은 요즘 사용 X) - 게시판 활성화 안됨 - FAQ 부족 - 대화형 X, 챗봇 X - 구석구석 오타 - 연혁 멈춤 - 잘된점도 찾기 - 메인 화면 파란 블록의 서비스 목록 read more 반응 없음 - 중앙 첨단연구지원 부분 read more 반응 없음 KREONET 소개 - 연혁 2015 이후 멈춤 네트워크 - 개요와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부분 내용 비슷해서 통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음 -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: 개요가 먼저 나오고 연혁 나오는 것이 좋을 것 같음 - 연혁 2016년 이후 업데이트 안됨 서비스 - 첨단네트워킹서비스 -> 차세대 이더넷 서비스(사용 안 하는 것 같음) - e-Conferencing 서비..
1. 해외 연구망 ESnet, Internet2, geant, surfnet 등에 대한 조사 - 개인 서비스 목록(ICT 등) - 사용량 조회(트래픽) - 동향 - 연구망적 사용자 서비스 어떻게 하는지 - 서비스에 대한 조사(근황, 현황) => kreonet 포털 만드는 게 목표 ESnet(Energy Sciences Network) - 미국의 가장 빠른 과학 전용 네트워크 - 미국 전역에 다중 100Gbps 광섬유 백본 - DOE의 국가 실험실 시스템과 실험 시설을 전 세계 연구 및 상업 네트워크와 연결 - ESnet6은 DOE 413.3B 프로세스로 관리되며 CD 1/3A 달성 - 2019.12 CD 2/3 검토 성공 - Network Traffic Volume https://my.es.net/tra..

순서 1. pSConfig에서 json 파일 수정 2. publish, remote add로 pScheduler에서 검사 3. 검사 결과 Esmod로 보내면 웹에서 확인 가능 cd /usr/share/doc/perfsonar/psconfig 예제 파일들 하나 복사해서 테스트용으로 사용 나는 skeleton.json 복사했다 cp skeleton.json test.json test.json에 ip를 넣어준다 publisher 설치해주고 yum install perfsonar-config-publisher publish psconfig publish /usr/share/doc/perfsonar/psconfig/test.json pscheduler 설치 yum install perfsonar-psconfig-..

1. 해외 연구망 ESnet, Internet2, geant, surfnet 등에 대한 조사 - 개인 서비스 목록(ICT 등) - 사용량 조회(트래픽) - 동향 - 연구망적 사용자 서비스 어떻게 하는지 - 서비스에 대한 조사(근황, 현황) => kreonet 포털 만드는 게 목표 2. 홈피 개선점 - 서비스, 현황이 과거임 (science org, e 컨퍼런싱 등은 요즘 사용 X) - 게시판 활성화 안됨 - FAQ 부족 - 대화형 X, 챗봇 X - 구석구석 오타 - 연혁 멈춤 - 잘된점도 찾기 3. perfSonar 조사 - 배경지식, 역사, 사용 이유, 아키텍처 구성, 사용자, 컴포넌트 구성, 소스코드, 테스트 - 아키텍처,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- 기사, 기술 문서, 남들이 정리한 거 보고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