쏘ing
[SmartThings #3] Ngrok 사용법(How to use Ngrok?) 본문
SmartThings에서 SmartApp을 만들기 위해서는 https로 시작하는 서버가 필요합니다!
AWS로 서버를 여는 방법도 있지만, SmartThingsCommunity를 보면 다들 Ngrok이라는 것을 사용하라고 하는데요
이 장에서는 Ngrok 설치 및 사용법, 주의사항에 대해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
Ngrok이란?
먼저 Ngrok이란 간단히 로컬 서버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링 소프트웨어입니다
Ngrok을 사용하면 AWS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로컬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아주 기똥찬 친구이죠^_^
설치 후 간단한 명령어로 제어가 가능하기에 실제 배포할 생각이 없다면 Ngrok 서버로 만든 url로 충분히 SmartThings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!
Ngrok 주의사항
1. Ngrok 무료 계정의 경우 하나의 연결만 가능합니다!
(두 개 이상의 포트를 열 수 없어요❌)
2. Ctrl + C를 누르거나 창을 종료하면 연결이 종료됩니다!
(오잉 당연한 거 아닌가 싶겠지만 이후 Ngrok으로 생성한 URL을 사용해 SmartApp을 만들 경우 Ngrok 창이 종료되면 URL이 사라져서 SmartApp의 설정을 변경하거나, SmartApp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아주 번거로운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 주세요!)
Ngrok 설치
Ngrok을 설치하면 Token을 발급 받아야 하는데요! Token 발급을 위해서 Ngrok에 회원가입을 해줘야 합니다
https://dashboard.ngrok.com/signup
ngrok - Online in One Line
dashboard.ngrok.com
회원가입 후 아래처럼 사용 방법이 아주 친절하게 나와있는데요! 각자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 받아 줍니다!
설명처럼 압축 풀고 ngrok.exe 파일 실행시켜서 2번에 있는 명령어 긁어서 붙여넣어주세요~
그리고 3번에 나와있는 것처럼 ngrok http 80을 했을 때 다음과 같이 나온다면 잘 설치가 된 것입니다!!
ngrok http 80
연결된 페이지가 없어서 오류나는데 이런 로그까지 아주 잘 찍어줍니다~훌륭해훌륭해~~👍
이제 모든 준비를 마쳤으니 다음 장에서는 SmartApp 생성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!